2012년 4월 9일 월요일

[데이비스컵]한국 선수단 인터뷰


한국 테니스 대표팀. 사진= 대한테니스협회
<윤용일 감독 인터뷰>-총평
원정경기이고 랭킹 차이가 워낙 많이 나는 상황에서도 선수들이 굉장히 잘 싸웠다. 멀리 봐서는 희망적이다. 선수들이 좋은 경험을 했다.
 
-서브에 고전했다.
항상 그게 문제다. 스트로크 수준은 비슷했는데 서브, 리턴에서 안됐다. 외국 선수들의 강하고 정교한 서브에 익숙해지려면 경험밖에 없다. 국제 경기를 많이 뛰면서 직접 부딪히는 수밖에 없다.
-1단식 조민혁이 예상외로 선전했는데.
재능은 항상 있었다. 군대 가기전 퓨처스에서도 1등했었고...이번 대회를 통해 좀 더 성장했을 것이다. 본인도 많이 느꼈으리라 본다. 세계 36위(버나드 토믹)와 상대했을 때 큰 차이는 서브에서밖에 없었다.
 
-정석영이 보완할 점은.
잘했는데 라이징볼(떠오르는 공)을 잘 못 쳤다. 포핸드 때 빨리 쳐야 하는데 기다리다가 쳐서 상대가 받아칠 준비를 하겠금 한다.그 점은 고쳐야 할 것 같다.
 
-임용규가 있었다면 어땠을까.
지금보다 더 재미있었을 것 같다. 특히 복식에서 설재민과 임용규가 계속 호흡을 맞춰왔기 때문에 찬스가 더 많이 왔을 것도 같다. 정석영과 설재민은 이번 대회 처음으로 복식 호흡을 맞췄다.
 
-호주 대표팀에 대한 느낌은.
그리 강한 팀은 아니라고 느꼈다. 공 치는 스타일이 다른 서양 선수들하고 다르다. 보통 서양 선수들은 강하게 치는데, 호주 선수들은 스타일이 강하게 치기 보다는 슬라이스를 많이 쳤다.
 
-이제 다시 1회전(2013년 2월)부터 시작해야 하는데..
임용규 등 부상당한 젊은 선수들이 돌아올테니 점점 괜찮아질 것이다. 또다른 젋은 선수들도 빨리 기량이 올라와야 할 것이다. 1년 정도 여유가 있으니까 그 사이 경험도 많이 쌓아야 한다. 진짜 경험이 중요한 것 같다.
 
<정석영 인터뷰>
이번 대회를 통해 뭐가 부족한 지 확실히 알게 됐다. 무엇이 그들을 100위권 안에 들게 했는지 알게 됐다. 일단 서브가 좋고 기본적인 에러가 없다. 여유도 넘치고 위기관리능력도 좋았다.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 같다. 일단 스트로크에서는 밀린 것 같지 않다.
 
그런데 서브할 때 공이 어디로 오는지 잘 모르겠더라. 한국 선수들하고 하면 대충 알겠는데...앞으로 서브와 리턴을 집중적으로 연습해야 할 것 같다. 버나드 토믹이랑 한번 붙고 싶었는데 못 싸워서 조금 아쉽기도 하다. 복식경기는 처음 호흡을 맞춰봐서 1세트에 어떻게 싸웠는지도 기억 못하겠다.
 
호주 관중들 응원이 처음에는 재미있었는데 나중에 되니까 상대를 비웃기도 해서 좀 짜증이 났다.
 
<조민혁 인터뷰>
 진짜 첫날 첫 단식 1세트 때는 숨도 제대로 못 쉬었다. 그만큼 긴장됐다. 2세트 때 그나만 집중이 되었는데 그때는 토믹이 제 컨디션을 되찾았더라...이번 기회에 많이 느꼈다.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.
 
<설재민 인터뷰>
이번 시합에서 많이 배웠다. 이번 기회를 통해 좀 더 연습하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. 복식경기가 많이 아쉽기는 하다. 1세트 분위기를 좀 더 끌고 갔으면 이길 수도 있었을텐데 하는 생각도 있다.
 
<전영대 테니스협회 부회장>
창피만 당하지 말자고 했는데 애들이 굉장히 선전했다. 매 게임 타이트하게 갔다. 선수들을 정말 칭찬해주고 싶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